지진이 일어나면 집안에서 인명피해를 입기 쉽습니다.<br /><br />가구나 각종 집기가 갑자기 사람을 덮칠 수 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지진이 많은 일본에서는 지진에 대비한 가구 배치가 생활화돼 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만약, 잠을 자다가 지진이 왔다고 가정해보죠.<br /><br />집안의 가구들이 흔들리고 넘어질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때, 침대나 침실 머리 쪽에 가구를 놔두면 매우 위험합니다.<br /><br />잠을 자다가 가구가 쓰러지거나 물건이 떨어져 머리를 다치면 큰 부상을 입거나 심지어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가능하면 침실에는 높은 책장 같은 넘어지기 쉬운 가구는 놓지 말아야 합니다.<br /><br />또 그 가구 위에 무거운 물건을 올려놓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<br /><br />불가피하게 침실에 책장 등 가구를 놔야 한다면 가구의 높이를 낮게 하거나 또는 발 쪽에 놓는 게 좋다고 합니다.<br /><br />도자기, 화병 같이 깨지기 쉬운 물건은 낮은 곳에 두는 게 좋습니다.<br /><br />집안 가구 배치와 가구의 고정, 왜 중요할까요.<br /><br />지난 1995년 6,300여 명이 목숨을 잃었던 최악의 고베 대지진이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희생자들이 어떤 이유로 목숨을 잃었는지를 유형별로 분류한 자료를 보면,<br /><br />건물 붕괴 등으로 인한 압박사는 전체의 17%였습니다.<br /><br />생각보다 적지요.<br /><br />반면 가구나 가전제품의 붕괴로 인한 압박사가 무려 46%나 됐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유리나 금속에 의한 큰 부상이 사망으로 이어진 경우도 25%나 됐습니다.<br /><br />내가 사는 집이 내진 설계가 되었는지도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은데요.<br /><br />우리 집 내진 설계 간편조회 사이트에 들어가 도로명 주소를 입력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문제는 이 사이트가 현재 시범운영 상태인 데다 오늘 접속자가 폭주하면서 접속에만 30분이 걸렸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어쨌든 긴 기다림 끝에 제가 직접 YTN 주소를 입력해서 확인을 해봤는데요.<br /><br />이렇게 "내진 설계가 되었다"는 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건축 허가일이 1988년 이후이면 보통 내진 설계가 됩니다.<br /><br />내진 설계는 건축 허가 일자 1988년 9월 2일을 기준으로 적용됩니다.<br /><br />내진 설계 기준은 점차 강화되고 있는데요, 올해 2월부터는 2층 또는 연면적 500㎡ 이상의 건물은 의무적으로 해야만 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가장 궁금했던 점, 정작 이 건물이 어느 정도 규모의 지진을 버틸 수 있는가,<br /><br />여기까지는 나오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실제 내진 설계에는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111620063823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